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아는 분은 아시지만, 올해 초부터 주식을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입사하고 나서부터 주식을 거래하고 있지만, 제대로 공부한 적은 없던 것 같습니다. 이런 저런 책도 읽고 유투브도 보고 하면서, 느낀 거지만 지금까지 큰 손실이 없었다는게 정말 운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어떤 계기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우연히 가치투자라는 키워드를 듣고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를 읽은 것이 공부의 시작이었고, 이것 저것 닥치는 대로 보고, 듣고 또 읽었습니다. 한 두어달을 그렇게 접하고 나니, 용어가 익숙해지고 정말 묻지마 투자를 하고 있었구나를 깨달았고, 그래서 그때부터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수익을 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어떤 회사가 돈을 벌고 어떤 정보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을까? 란 고민의 해답이 재무제표..

회사의 상장 폐지 조건.
주식 투자에 있어서 가장 피해야 할 상황이 투자한 종목의 상장 폐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상장 폐지가 결정되면, 큰 재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상장 폐지가 무엇이고, 어떤 기업이 상장 폐지가 되는지 알아봤습니다. 상장 폐지란? 거래소 상장 조건에 부합하지 않거나, 심각한 결격사유가 발생하여 증권거래소에서 더 이상 거래되지 못하고 퇴출되는 것을 상장 폐지라고 합니다. 상장 폐지가 결정되면 해당 종목은 정리매매를 거쳐 거래소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정리 매매는 상장 폐지가 결정된 주식에 대해 7거래일 동안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정리 매매 기간 동안 마지막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 후 상장 폐지가 되면, 장외에서 거래할 수 밖에 없으며 장외 거래는 거래가 매우 어려우므로 사실..

swarmpit ( docker swarm dashboard )
도커 오케스트레이션 환경은 docker의 swarm과 google의 kubernates가 있습니다. ( 적어도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는.. ) 초반에는 비슷했던 것 같은데, 요새는 kubernates가 대세가 된 지 오래된 것 같습니다. kubernates가 대세가 되었고, 좋은 것은 알지만, 혼자 쓰거나 작은 서비스에서 kubernates를 쓰기는 좀 부담스럽습니다. 왜냐면 kubernates는 기본적으로 3대의 노드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단일 노드만 있어도 되는 minikube가 있기는 하지만, 운영용으로 사용할만한 물건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swarm을 사용합니다. swarm은 단일 노드에서도 구동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노드를 묶어 클러스터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

아나콘다 64bit와 32bit 동시 사용하기
아나콘다 64bit 버전을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32bit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 32bit 버전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32bit 버전인 경우, 메모리 사용에 문제가 있기에 32bit 버전만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64bit 버전만 사용하거나, 둘을 혼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64bit와 32bit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은 첫번째, 64bit 버전과 32bit 버전, 둘 다 설치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문제없이 두 버전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로만 다르게 설치하면 되므로 사실 제일 간단한 방법일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아나콘다 가상 환경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먼저 환경 변수 CONDA_FORCE_32BIT에 값을 1로 설정하고, 아..

GitHub에서 Merge된 Branch 자동으로 삭제하기.
요새는 Git을 사용하는 사람도 많아졌고, GitHub에서 개발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GitHub에서 개발한다는 이야기는 Pull Request(PR)를 이용해서 workflow를 사용한다는 이야기도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Pull Request를 이용하다 보면 관리해줘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Merge된 Branch를 삭제해주는 것입니다. GitHub에서는 Merge될 경우, 브랜치를 쉽게 삭제할 수도록 "Delete Branch" 버튼을 제공합니다. 혼자 관리하는 리파지토리는 잘 눌러서 살아있는(?) 브랜치만 관리합니다. 그런데, 여러명이 협업하는 리파지토리에서는 이 버튼을 잘 눌러지지 않더라구요. 일단 Merge담당자(Reviewer일 수도 있습니다) 입장에서는 함부로 브랜치를 삭제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