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Objects
    • Life
    • Technic
    • entry
  • Tags
  • github
  • docker
  • git
  • wsl2
  • go
Life

Zoomit (Windows Presentation Tool)

2020. 7. 27. 18:35

다른 누군가에게 화면을 보여주면서 설명할 때, 종종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예전 화면을 확대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릴 수도 있는 프레젠테이션 도구 입니다. 전문적인 프레젠테이션 유틸리티에 비해서는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윈도우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프레젠테이션 유틸리티 중 이만한 걸 아직 찾지못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 배포되고 있으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zoomit : https://docs.microsoft.com/ko-kr/sysinternals/downloads/zoomit

 

ZoomIt - Windows Sysinternals

Presentation utility for zooming and drawing on the screen.

docs.microsoft.com

 

기능은 크게 확대와 라이브확대, 그리고 화면에 쓰기와 휴식시간 보여주기가 있습니다. ( 아래 설명은 기본 설정 키로 설명합니다. 키는 옵션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1. 확대(Zoom) ( Ctrl + 1 )

화면 확대는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확대합니다. 기본 값은 2배 확대이며, 키보드 위 아래 화살표를 이용하여 배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확대를 하고 마우스를 이동하면 확대된 영역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며,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여 보여주고 필요한 경우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화면에 그리기를 할 수 있습니다. 

 

확대를 해제할 때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나, 키보드의 ESC, 또는 Ctrl+1 키를 누릅니다. 

 

2. 라이브 확대(Live Zoom) ( Ctrl + 4 )

기본 화면 확대가 캡쳐를 하고 캡쳐된 화면을 확대하지만, 라이브 확대에서는 화면이 그대로 동작합니다. 어떤 부분의 동작을 강조해서 보여줄때 사용합니다. 기본 확대에서와는 달리 마우스 왼쪽, 오른 쪽 버튼은 평소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화면의 가장자리로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면 확대 영역을 이동할 수 있으며, 확대 배율은 Ctrl + Up/Down키를 이용합니다. 

 

확대를 하제할 때는 Ctrl + 4 키를 누릅니다. 

 

3. 화면 쓰기 ( Zoom상태에서 왼쪽클릭, Ctrl + 2 )

화면 확대와 같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이지만, 확대되지 않은 화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trl+2 키를 누르면 화면이 정지하고 마우스 커서가 + 모양으로 바뀝니다. 이때, R(red), G(green), B(blue), Y(yellow) 키를 눌러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trl + z키를 이용해서 한단계씩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고, e 키를 이용해서 전체를 지울 수 있습니다. w(white), k(black) 키를 이용해서 배경을 흰색 또는 검정색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저장은 Ctrl + s을 누르면 현재 화면에 기록된 내용을 png 파일로 저장합니다.

쓰기모드 해제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4. 휴식시간 보여주기. ( Ctrl + 3 )

프레젠테이션이 오래 진행 될 경우, 중간에 휴식시간을 가지곤 하는데, 그럴때 사용하면 좋은 기능입니다. Ctrl +3 을 누르면 화면에 커다란 (기본설정) 10분짜리 타이머가 보이게 됩니다. 위 아래 화살표를 이용해서 분을 , 좌우 화살표를 이용해서 10초 간격으로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정된 시간이 모두 지나게 되면 괄호안에 지난시간을 (- 로) 보여줍니다. 옵션에서 시간을 마칠 때 소리가 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휴식시간의 해제는 ESC 키를 눌릅니다. 

 

 

윈도우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프레젠테이션 도구인 ZoomIt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구하시도 어렵지 않고, 사용법도 간단하기 때문에 코드 리뷰할 때나 만들어진 서비스를 시연할 때, 혹은 교육 등을 하실 때 사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copyright 2020. noname

티스토리툴바